리눅스(centos, ubuntu)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, df, du, 옵션
by 개발자
2024-09-19 09:42:45
조회수:1340
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df와 du입니다. 두 명령어는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, 몇 가지 유용한 옵션들이 있습니다. 아래에 각 명령어와 옵션을 설명하겠습니다.
1. df (disk free)
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전체 디스크 용량과 사용 가능 용량을 보여줍니다.
사용법:
df [옵션]
주로 사용하는 옵션:
-h: 사람에게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(KB, MB, GB 등)-T: 파일 시스템 유형을 함께 출력-i: 인덱스 노드(inode) 사용량을 출력-a: 모든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출력 (일반적으로 숨겨진 시스템 파일도 포함)--total: 모든 파일 시스템의 합계를 마지막에 표시
예시:
df -h
출력:
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/dev/sda1 20G 15G 5G 75% / tmpfs 500M 4.0K 500M 1% /dev/shm
2. du (disk usage)
du 명령어는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의 크기를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.
사용법:
du [옵션] [파일/디렉토리]
주로 사용하는 옵션:
-h: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(KB, MB, GB 등)-s: 요약하여 총 크기만 출력-a: 파일과 디렉토리 모두 크기 출력-c: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총합을 출력--max-depth=N: 지정한 깊이만큼의 하위 디렉토리까지만 크기를 표시
예시:
du -h --max-depth=1
출력:
4.0K ./tmp3.5G ./home 15M ./var 3.6G .
이 명령어들과 옵션을 사용하면 시스템의 디스크 용량을 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